본문 바로가기
패션

10수와 20수 중 어떤 티셔츠가 더 두꺼울까?

by HWANG. 2023. 5. 4.

어렵게 배우는 10수 20수 티셔츠 차이 썸네일

어렵게 배우는 10수 20수 티셔츠 차이 (feat. 데니어, 온스)

오늘은 10수 티셔츠와 20수 티셔츠 중 어떤 티셔츠가 더 두께감있는지, 그리고 어떤 방식으로 숫자를 표시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고, 뒤에는 우리가 스타킹에 많이 사용하는 데니어와 데님에 많이 사용하는 온스에 대해서도 잠시 다뤄보도록 하겠다.

 

 

 

 

 

번수법 뜻
번수법

 

번수법

 

번수는 실의 굵기를 나타내며, 일정한 무게의 원료에서 뽑아낸 실의 길이를 표시한다.

 

예를들면 100g의 원료에서 10m의 실을 뽑아내면 10수, 20m의 실을 뽑아내면 20수가 되는 것이다.

 

이때 동일한 무게의 원료에서 더 긴 실을 뽑아낸다면 당연히 실은 더 가늘어질 것이다.

 

따라서 10수보다 20수가 더욱 얇다고 할 수 있다.

 

 

 

 

 

변수

 

바로 위에서 말한 것처럼 10수 원사로 만든 티셔츠는 20수 원사로 만든 티셔츠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울 것이다.

 

다만 그렇게 완성된 원단과 티셔츠의 두께 및 무게는 짜임 방식이나 원단의 밀도, 원사의 꼬임수 등 변수에 따라 반드시 2배의 무게 차이가 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치노 원단의 경우 2가닥 꼰 실(쌍사)을 사용하여 짜기 때문에 더욱 두껍다.

 

 

 

 

 

항중식과 번수법

 

계속해서 말한 '번수법'처럼 표준 중량과 단위 길이를 정하고 표준 중량에 대비하여 단위 길이의 배수를 그 실의 번수로 결정하는 방식을 항중식이라고 한다. (항중식은 항상 중량이 일정하다는 의미)

 

조금 더 깊게 설명하자면 위에서 번수법을 말할 때 표준 중량을 100g, 단위 길이를 1m로 정해서 계산했기 때문에 100g의 원료에서 실 1m를 뽑아내면 1수, 10미터를 뽑아내면 10수, 100미터를 뽑아내면 100수라고 설명했는데 이것은 이해하기 쉽도록 단위를 바꾼 것이고, 흔히 실제로 면사에 사용하는 표준 중량은 1lb(약 453.6g), 단위 길이는 840yd(약 768.1m)로 계산하는 것이 보통이다.

 

 

 

 

항장식과 데니어

 

반면 항중식과 반대로 표준 길이와 단위 중량을 정하고 표준 길에에 대비하여 단위 중량의 배수를 그 실의 번수로 결정하는 방식도 흔히 사용된다. (항장식은 항상 길이가 일정하다는 의미)

 

예를들면 합성섬유에서 많이 사용하는 데니어가 있는데, 스타킹을 구매해봤다면 앞면에 표시된 숫자를 본적이 있을 것이다.

 

데니어는 9000m의 실이 1g일 때 1데니어, 10g일 때 10데니어, 100g일 때 100데니어라고 말한다.

 

 

 

 

 

데님 온스 뜻
데님의 온스

 

데님의 온스

 

데님을 사랑한다면 무게를 온스로 표시하는 것을 본적이 있을 것이다.

 

데님은 일반적으로 1m² 당 무게를 온스로 표시하는데, 단위로 설명하자면 1m² 당 약 28.4g일 때 1온스라고 말하고, 1m² 당 약 283.5g일 때 10온스라고 말한다.

 

즉, 20온스는 10온스보다 2배 무거운 것이다.

반응형

'패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랜드란 무엇인가?  (0) 2023.05.09
패션 브랜드의 역사: 리바이스  (0) 2023.05.08
가장 아찔한 젊음의 상싱: 미니스커트  (0) 2023.05.03
패션 용어 '셀비지' 의미  (0) 2023.05.02
Y2K 패션을 알아보자!  (0) 2023.04.28

댓글